청소년 비만치료제 사용 증가…정부, 부작용 예방 위한 안전수칙 강화 - 미디어 바로
청소년 비만치료제 사용 증가…정부, 부작용 예방 위한 안전수칙 강화 - 미디어 바로
정부가 12세 이상 청소년에게까지 사용 범위가 확대된 GLP-1 계열 비만치료제에 대해 부작용과 오남용을 막기 위한 안전 정보를 안내했다. GLP-1 계열 약물은 인슐린 분비 촉진, 허기 지연, 체중 감
www.mediabaro.com
청소년은 성인에 비해 담석증 등 부작용 발생률이 높아 주의 필요
비만치료제는 전문의약품으로 의사 처방 후 허가받은 범위 내에서 사용

정부가 12세 이상 청소년에게까지 사용 범위가 확대된 GLP-1 계열 비만치료제에 대해 부작용과 오남용을 막기 위한 안전 정보를 안내했다. GLP-1 계열 약물은 인슐린 분비 촉진, 허기 지연, 체중 감소를 유도하는 성분으로, 최근 청소년층에서도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현재 해당 비만치료제는 체질량지수(BMI)를 성인 기준으로 환산해 30kg/㎡ 이상이며 체중이 60kg을 초과하고, 의료진에게서 비만 진단을 받은 12세 이상 청소년에게만 처방할 수 있다. 칼로리 저감 식이요법과 신체활동 증가를 보조하는 전문의약품으로, 의사의 처방 없이 사용할 수 없다.
임상시험에서는 청소년 비만환자가 성인보다 담석증, 담낭염, 저혈압 등의 부작용 발생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허가 범위 내에서 투여하더라도 구토, 설사, 복통 등 다양한 위장관 부작용이 보고됐다. 성장 과정에 있는 청소년은 영양 섭취 부족과 탈수, 급성 췌장염 위험에 더 취약해 더욱 신중한 투약이 요구된다.
정부는 비만치료제의 안전한 사용을 위해 사용 대상, 투여 방법, 보관·폐기 요령, 이상사례 신고 절차를 담은 안전사용 리플릿을 전국 보건소와 의료기관 등에 배포한다. 또한 교육 현장과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학생과 학부모에게 관련 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할 계획이다.
청소년이 자주 이용하는 공공 플랫폼에서도 안전사용 홍보를 강화한다. 통합정보망 ‘청소년1388’, ‘e청소년’, 국립청소년수련원 등 여러 채널을 활용해 비만치료제가 체중 감량 목적 외로 사용되지 않도록 주의를 당부한다.
정부는 지난해 하반기 GLP-1 계열 치료제 출시 이후 사용량 증가에 따라 부작용 보고가 늘고 있다며, 해당 약물을 ‘이상사례 집중 모니터링 대상’으로 지정해 감시를 강화하고 있다고 밝혔다. 의약품을 정상적으로 사용했음에도 중대한 부작용이 발생한 경우에는 의약품안전관리원의 피해구제 제도를 이용할 수 있다.
정부는 앞으로도 청소년 비만치료제의 안전사용 환경을 조성하고, 허가된 범위 내에서 올바르게 사용될 수 있도록 관련 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할 방침이다.

'의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알츠하이머병 유전요인 대거 규명… 정밀 맞춤치료 기반 마련 (0) | 2025.11.06 |
|---|---|
| 경기도, 파주 예담요양병원 ‘노인요양시설 안전관리 우수시설’로 선정 (1) | 2024.11.19 |
| 건강보험 거짓청구 요양기관 12개소 명단 공표 (1) | 2024.04.02 |
| 전체 증원 2000명 중 비수도권 82%―경인 18% 배정 (1) | 2024.03.20 |
| 보완방안 시행 후 비대면진료 약 19% 증가 (0) | 2024.03.20 |